본문 바로가기
일상 리뷰

제주도 성산일출봉 입장료, 가볼만한곳 여행

by 다본 2023. 4. 14.

제주도 성산일출봉 이용시간, 입장료, 주차요금, 관람 팁, 성산일출봉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바다 위에 우뚝 솟아난 수성화산,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 천연기념물 제420호, 올레 1코스로 유명합니다.

 

성산일출봉
성산일출봉(출처 제주관광공사 홈페이지)

 

제주도 성산일출봉

주소 : 제주 서귀포시 성산읍 성산리 1

 

성산일출봉 운영시간

- 3~9월 07:00~20:00 (매표마감 18:50)
매월 첫째 월요일 휴관 (단, 등하산교차로, 우뭇개 전망대, 우뭇개 해안은 무료개방)
- 10~2월 7:30~19:00 (매표마감 17:50)
매월 첫째 월요일 휴관

 

성산일출봉 입장료

- 개인
성인 5,000원 / 청소년, 군인 2,500원 / 어린이 2,500원

- 단체
성인 4,000원 / 청소년, 군인 2,000원 / 어린이 2,000원

6세이하의 어린이, 기초생활 수급자, 65세 이상 어르신, 제주도민 등은 관람료가 무료입니다. 신분증을 미리 준비하셔야 합니다.

 

성산일출봉 주차장은 무료입니다.

 

매표소
검표소(출처 빛나는제주 블로그)

 

올라가면 좌측길과 우측길, 두 갈림길로 나뉘는데 좌측길은 해안길 탐방로로 무료로 이용이 가능합니다. 성산일출봉 정상까지 평균 소요시간은 50분 ~ 1시간 정도입니다.

 

편의시설은 공용주차장, 화장실, 편의점, 음료대, 경보 및 피난시설, 임산부 휴게시설 등이 있습니다.

 

성산일출봉에서 승마체험도 가능합니다. 1인 10,000원으로 경치가 좋아서 체험해 볼만하다고 합니다. 정상으로 오르는 길이 좀 숨이 차지만  중간중간 휴식공간이 있습니다.

 

정상에서 하산하는 길은 오른쪽에 있습니다. 원래는 하산하는 길이 따로 없어서 혼잡하였으나 2013년 옛길을 활용한 하산 전용길이 생겼습니다.

 

해안
우뭇개 해안(출처 빛나는제주 블로그)

 

하산하는 길에 해안길 무료탐방로로 가면 우뭇개 해안을 볼 수 있습니다. 우뭇개 해안은 화쇄난류라 불리는 현상에 의해 평행하고 경사진 층리, 물결모양, U자형 층리를 보이는 화산재층을 볼 수 있습니다.

 

성산
성산일출봉 1(출처 제주관광공사 홈페이지)

 

성산일출봉 이야기

성산일출봉에 대해...

성산일출봉은 마그마가 물속에서 분출하면서 만들어진 수성화산체입니다. 화산활동 시 분출된 뜨거운 마그마가 차가운 바닷물과 만나면서 화산제가 습기를 많이 머금어 끈끈한 성질을 띄게 되었습니다.

 

이것이 층을 이루면서 쌓인 것이 성산일출봉입니다. 바다 근처의 퇴적층은 파도와 해류에 의해 침식되면서 경사가 가파른 모습을 띄게 되었습니다.

 

정상
성산일출봉 전망(출처 제주관광공사 홈페이지)

 

생성 당시엔 제주 본토와 떨어진 섬이었는데 주변에 모래와 자갈등이 쌓이면서 간조 때면 본토와 이어지는 길이 생겼고, 1940년엔 도로가 생기면서 육지와 완벽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정상에 오르면 너비가 8만여 평에 이르는 분화구를 볼 수 있는데, 그릇처럼 오목한 형태로 안에는 억새 등의 풀이 자라고 있습니다.

 

분화구 둘레에는 99개의 봉우리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이 모습이 거대한 성과 같다고 해서 '성산', 해가 뜨는 모습이 장관이라 하여 '일출봉'이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일출
성산일출봉 2(출처 제주관광공사 홈페이지)

 

전설에 의하면 성산일출봉의 봉오리가 100이었다면 제주에는 호랑이, 사자 같은 맹수가 날 것인데, 하나가 모자라 아흔아홉이기 때문에 호랑이도 사자도 아니 난다고 합니다.

 

성산일출봉에는 아픈 역사도 간직하고 있습니다. 1943년에는 일본군이 요새화하기 위해 일출봉 해안절벽에 24개의 굴을 팠고 굴속에 폭탄과 어뢰등을 감춰두고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고 패전하였습니다.

 

정상에서는 너른 분화구와 그 뒤로 펼쳐지는 바다의 풍경은 웅장한 느낌을 줍니다. 정상에서 바라보는 일출광경은 영주 10경 중에서 으뜸이라 하여 매년 12월 31일에는 성산일출축제가 열립니다.

 

성산일출봉은 지방기념물로 관리하다 2000년에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으며, 빼어난 경관과 지질학적 가치를 인정받아 2007년에 UNESCO 세계자연유산에 등재되었습니다. 2010년에는 UNESCO 세계지질공원에 인증되었고, 2011년도 대한민국 자연생태관광 으뜸명소, 2012년 한국관광 기네스 12선에도 선정되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