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 리뷰

2023 진해 군항제 (벚꽃축제) 일정, 전야제, 가는방법

by 다본 2023. 3. 22.

4년 만에 돌아온 벚꽃 축제, 36만 벚나무와 칼군무, 웅장한 음악, 육해공해병과 미 8군이 함께하는 진해군악의장페스티벌, 하늘에는 공군 특수비행팀 블랙이글스가 에어쇼를 펼치는 진해군항제입니다.

 

군항제-대표
진해군항제 (출처 창원특례시 홈페이지)

 

제61회 진해군항제

기간 : 2023년 3월 25일 (토) ~ 4월 3일 (월) 10일간

개막행사(전야제) : 2023년 3월 24일 (금)

장소 : 창원시 진해구 중원로타리 등 진해구 일원

슬로건 : 벚꽃으로 여는 새로운 세상!

주최, 주관 : 창원특례시, (사)이충무공선양군항제위원회

행사장
주요행사장 안내(출처 창원특례시 홈페이지)

 

주요 행사장 안내

1. 진해공설운동장

- 진해군항제

개막행사(전야제), 블랙이글스 훈련비행, 블랙이글스 에어쇼

- 군악의장페스티벌

개막식 및 공연, 주간공연, 야간공연, 폐막식

2. 중원로터리

벚꽃문화마켓(문화예술공연) : 중앙시장, 여좌천, 중원로터리

벚꽃푸드마켓(푸드트럭) : 중원로터리, 경화역

벚꽃 DIY마켓

K-2 전차/K-9 자주포 전시

벚꽃 야행 : 중원로터리(진해우체국) → 남원로터리(백범김구 친필시비) → 북원로터리(이순신동상) ~ 진해역

제황산공원(모노레일)

3. 북원로터리

이충무공 추모대제, 이충무공 승전행차, 호국퍼레이드

4. 경화역

경화역 Love Story 공모전(문화공연), 벚꽃푸드마켓

5. 진해루

이충무공 승전기념 해상불꽃쇼, 벚꽃향토음식마켓, 상설문화공연, 한복에 벚꽃을 담다(해군+한복 패션쇼)

6. 여좌천(로망스다리)

시니어벚꽃케어페스티벌, 여좌천 별빛축제, 벚꽃문화마켓(문화예술공연), 벚꽃길 향기 따라(한복 패션쇼)

7. 중앙시장

벚꽃문화마켓(문화예술공연)

8. 해군사관학교(군부대 개방 행사)

입시홍보관, 해양스포츠체험, 군복체험장, 포토존, 시민강좌, 거북선 개방, 탁본 체험장, 이충무공아카데미(웅포강당), 사관생도 충무의식

9. 해군진해기지사령부

통해로 전반, 손원일 제독 동상 : 해군 포토위즈(무료사진촬영), 군복체험, 포토존, 해군 사진 전시회, 군악 연주회, 6.25 전사자 유해발굴 사진 전시

11 부두 : 함정공개행사, 페인트볼 사격장

10. 미해군진해부대 CFAC

미해군진해부대 개방, 미해군전시물, 게임, 음식

11. 이순신리더십센터

이순신리더십 체험 프로그램 '나도 이순신처럼'


벚꽃투어코스

1. 전야제 코스(1박 코스)

여좌천 → 북원로터리 → 점심식사 중앙시장 → 해군사관학교 → 경화역 → 저녁식사 경화시장 → 전야제 → 여좌천

 

2. 해상 불꽃쇼(당일 오후 코스)

해군사관학교 → 간식 중원로터리 → 경화역 → 저녁식사 석동맛집 거리 → 진해루 해상불꽃쇼 → 여좌천

 

3. 진해 군악의장 페스티벌(1박 2일 오후 코스)

경화역 → 점식식사 경화시장 → 승전행차, 호국퍼레이드 : 진해역, 중원로타리 → 군악의장 주간공연 : 진해공설운동장 → 해군사관학교 → 간식 중원로타리 → 집으로 → 아침 벚꽃 : 여좌천

 

4. 에코힐링코스

여좌천 → 점심식사 중앙시장 → 안민고개 십리벚꽃길 → 경화역 → 저녁식사 속천항, 진해루 → 진해탑산, 모노레일

 

5. 어드벤처 코스

진해해양공원 → 점심식사 진해명동 → 경화역 → 군함, 사격체험(해군사관학교, 11 부두) → 저녁식사 중앙시장 → 여좌천

 

6. 숨겨진 벚꽃 핫플레이스

진해구청 뒤편 진해드림파크, 진해 광석골 쉼터, 벚꽃 공원 장천동, 문화의 거리, 진해드림로드, 장복산 조각공원, 드림파크, 진해웅천고 앞쪽 마을


교통안내

1. 시티투어

시티투어
시티투어(출처 창원특례시 홈페이지)

 

2. 교통소통안내

교통소통
교통소통안내(출처 창원특례시 홈페이지)

 

3. 대중교통

대중교통
대중교통(출처 창원특례시 홈페이지)

 

4. 주차장 안내

주차장
주차장 안내(출처 창원특례시 홈페이지)

 

5. 차 없는 거리 및 일반통행 안내

차없는거리
차 없는 거리(출처 창원특례시 홈페이지)


2023 진해군악의장페스티벌

기간 : 2023년 3월 31일 (금) ~ 4월 2일 (일) 3일간

장소 : 진해공설운동장 및 창원시 일원

슬로건 : 군항의 울림! 미래의 선율!

주최, 주관 : 창원특례시, (사)이충무공선양군항제위원회

후원 : 국방부

주간공연
주간공연(출처 창원특례시 홈페이지)

 

1. 주요 프로그램 일정

개막식 : 3월 31일(금) 19:00~21:00 진해공설운동장

폐막식 : 4월 2일(일) 20:30~21:00 진해공설운동장

주간공연 : 4월 1일(토) ~ 4월 2일(일) 15:00~16:30

야간공연 : 4월 1일(토) ~ 4월 2일(일) 19:00~20:40

 

호국퍼레이드 : 진해기지사령부 앞 집결 → 북원로터리 → 진해역 → 중원로터리 → 공설운동장

프린지공연 : 진해구, 창원, 마산일원 찾아가는 진해군악의장페스티벌 개최

 

군부대개방
군부대 개방(출처 창원특례시 홈페이지)

 

2. 군부대 개방

- 군부대 개방 일정

① 1 정문(북원로터리) 해군진해 기지사령부

3월 25일(토) ~ 4월 3일(월) 9:30~16:30

출입방법 : 도보, 차량, 시내버스(임시노선)

주요 행사 : 해군 포토위즈(무료사진촬영), 군복 체험, 포토존, 해군 사진 전시회, 군악 연주회

 

② 3 정문(남원로터리) 11 부두, 해군사관학교

3월 25일(토) ~ 4월 3일(월) 9:30~16:30

출입방법 : 도보(주말만), 차량, 시내버스(임시노선)

주요 행사 : 함정공개, 페인트볼 사격체험, 이충무공 아카데미, 거북선 개방, 탁본체험

 

③ 미해군진해부대 CFAC

4월 1일(토) 12:00~16:00

출입방법 : 도보

주요 행사 : 미해군 관련 전시

 

* 이륜차(오토바이, 자전거 등), 킥보드 출입 불가, 드론반입불가, 부대 내 주정차 및 하차 절대 불가, 허가 구역외 사진 및 동영상 촬영 금지입니다.

 

- 군부대 주차장

1. 해군진해기지사령부(11 부두)

주차면수 1500면 3월 25일(토) ~ 4월 3일(월) 9:30~16:30

2. 해군사관학교

주차면수 1000면 3월 25일(토) ~ 4월 3일(월) 9:30~16:30

3. 해군교육사령부(주말)

주차면수 608면 3. 25 ~ 3. 26 / 4. 1 ~ 4.2  9:00~19:00

               3. 29(수) 18:00~22:00 진해루 불꽃쇼

 

- 군부대 투어 시내버스 임시노선

운행일 : 3월 25일(토) ~ 4월 3일(월)

운행시간 : 군부대 개방시간 9:30~16:30

요금 : 현금 1,500원, 교통카드 1,450원

 

(임시 1) 시내버스 : 북원로터리 ↔ 해군진해기지사령부 (평일 15회, 주말 30회)

(임시 2) 시내버스 : 남원로터리 ↔ 11 부두 ↔ 해군사관학교 (평일 42회, 주말 112회)

 

- 군항제 주요 행사장 시내버스 임시노선

운행일 : 주말 4일 3. 25(토)~3. 26(일), 4. 1(토)~4. 2(일)

운행시간 : 9:00 ~ 18:00

 

(그린라인) 시내버스 : 인의동 종점(진해시외버스터미널 - 속천항 - 해군교육사령부(진해루) - 경화역 - 중앙시장 - 진해역 - 북원로터리

 

- 버스 전용차로 운영

운영일 : 주말 4일 3. 25(토)~3. 26(일), 4. 1(토)~4. 2(일)

운행차량 : 시내버스, 전세버스, 승합차(25인승 이상)

노선 : 북원로터리 - 진해역 - 중앙시장 - 경화역 - 3호 광장 교차로(롯데마트)


군항제 유래

벚꽃축제로도 불리는 진해군항제는 1952년 4월 13일 우리나라 최초로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동상을 북원로터리에 세우고 추모제를 거행하여 온 것이 계기가 되었습니다.

 

초창기에는 이충무공 동상이 있는 북원로터리에서 제를 지내는 것이 전부였으나, 1963년부터 진해군항제로 개최하여 충무공의 숭고한 구국의 얼을 추모하였습니다.

 

향토문화예술을 진흥하는 취지를 살린 행사와 문화예술행사, 세계군악의장페스티벌, 팔도풍물시장 등을 아름다운 벚꽃과 함께 즐길 수 있는 봄 축제입니다.

 

벚꽃의 유래

왕벚나무의 원산지는 우리나라 제주도입니다. 진해에 가장 많았던 왕벚나무의 원산지는 일본이 아닌 우리나라 제주도임이 밝혀졌습니다.

 

'한국동식물도감'에는 벚나무는 모두 17종인데, 그중 우리나라에서 순수하게 자생하는 것이 5종입니다. 진해에는 우리나라 천연기념물 제156호로 지정된 한라산 자생종 왕벚나무도 식재되어 있습니다.

 

따뜻한 봄날씨, 아이들과 가족과 함께 또는 연인과 친구들과 함께 화사한 연분홍 빛깔의 벚꽃 보러 진해군항제에 나들이 가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댓글